한동안 뜸하던 꾀꼬리 소리를 듣고 장마에 밀린 빨래를 하던 날 아침 우리 다래헌에 참외 장수가 왔다. 노인은 이고 온 광주리를 내려놓으면서 단 참외를 사 달라는 것이다. 경내에는 장수들이 드나들 수 없는 것이 사원의 규칙으로 되어 있지만, 모처럼 찾아온 노인의 뜻을 거절할 수 없어 일금 40원을 주고 두 개를 샀다. 그런데 기이한 일이 일어났다. 돈을 받아 쥔 노인은 돈에 대고 퉤퉤 침을 뱉는 것이 아닌가. 그 표정이 하도 엄숙하기로 차마 연유를 물어볼 수 없었다.
며칠 후, 일주문 밖에서 그 참외 장수 할머니를 우연히 만났다. 왜 돈에 침을 뱉었느냐 물으니 그 날의 마수걸이여서 그랬다는 것이다. 그래서 잘 팔리더냐고 했더니 아주 재수가 좋았다 한다. 그때 돈에 침을 뱉던 그 엄숙한 표정과 비슷한 모습을 어디선가 본 것 같은 기억을 잡느라고 나는 한참 맴을 돌았다. 그렇지, 삼청동 뒷산에서였지.
삼청동 칠보사에서 기식하던 시절, 이른 아침 산에 오를 때마다 본 일이다. 바위틈에서 아낙네들이 음식을 차려놓고 치성을 드리던 바로 그 표정이었다. 때로는 무당들이 골짜기가 떠들썩하게 징을 쳐가면서 신명을 풀기도 했다. 더욱이 입시 무렵에는 인왕산 일대와 함께 '야외 음악당' 구실을 한다는 것이다.
근대화로 줄달음치고 있는 조국의 수도권에서 이와 같은 무속이 건재하고 계신 것을 보고 대한민국의 신시는 계룡산이 아니라 바로 서울이었구나. 이 신시의 순례자들은 서민층만이 아니고 높은 벼슬아치의 댁내들께서도 가끔 동참하고 있다는 데는 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종교와 미신의 분수령에는 여러 가지 푯말이 박혀 있겠지만, 그 중에는 정正과 사邪도 있을 법하다. 구하는 바가 청정하고 바른 것이냐, 아니면 사특하고 굽은 것이냐에 따라 그 길은 갈라질 것이다.
절간을 찾아온 사람들 중에도 사원을 예의 신시로 잘못 알고 오는 이가 더러 있다. 그런가 하면 어떤 부류의 승려들은 자기 본분을 망각한 채 관상을 보고 사주팔자를 곱작거리며 작명의 업을 벌임으로써 엉뚱한 길로 오도하고 있다.
이런 경우 미신의 촌수는 실로 모호하게 된다. 이러한 소지가 남아있는 한 가짜 사기승은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
오늘 아침 그 노인이 또 나타났다.
이번에는 복숭아를 이고 왔다.
이러다가 갈아주는 호의가 동업자로 변질되고 말 것 같다.
1969
08 January 2008
무소유 (26) 신시(神市) 서울
Author: JJun~* Location 1:31:00 pm
Label Korean Book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No comments:
Post a Comment